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21

스팀잇(Steemit)을 기억하며: 블록체인 기반의 커뮤니티와 아두이노의 만남 한때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붐 속에서 스팀잇(Steemit)은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디지털 커뮤니티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콘텐츠를 작성하고, 좋아요(업보트)를 받으면 암호화폐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이 플랫폼은 단순한 소셜 미디어를 넘어 블록체인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였습니다. 당시 저도 스팀잇에 푹 빠져 다양한 활동을 하며, 관련 굿즈를 모으고 아두이노 프로젝트와 결합해 창의적인 시도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스팀잇: 콘텐츠로 보상받는 탈중앙화 플랫폼스팀잇은 2016년 출시된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로, 콘텐츠 제작자와 큐레이터에게 암호화폐 보상을 제공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 플랫폼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보상 시스템: 사용자가 게시물을 작성하거나 댓글을 달고, 다른 콘텐츠에 투표하.. 2025. 1. 12.
암호화폐 이해하기(번외10) 제가 한번 채굴(mining) 해보겠습니다. 2탄 / Let me try mining (2nd) (for 학생과 스타트업을 위한 유용한 Tip) 잠시, 설명에 앞서 제목에서와 같이 "학생, 신생 스타트업"에게 유용한 Tip을 하나 드리고자 합니다. 직업이 직업이다 보니 대형 IT기업들에서 무상으로 제공하는 프로모션 정보들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익숙해서 일까요.. 약간은 무덤덤했던 정보였는데, 생각외로 접하지 못하신 분들이 많아서 먼저 공유 드립니다. 많은 SW(소프트웨어) 기업이 개인에게는 무료버전을 제공하듯 MS(마이크로소프트)도 MS 개발도구 등 과 같이 비싼 도구 (예: MS 비주얼스튜디오, 제 값내고 사면 한 1~2백만원은 상회 하죠..)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DreamSpark 라는 학생용 교육지원 프로그램이라는 프로모션을 통해 무상으로 사용권(사용권리: 기간한정 제한적 라이선스, 통상 인증 후 1년)를 제공합니다. 또한 신생기업(스타트업 .. 2017. 8. 12.
암호화폐 이해하기(번외9) 제가 한번 채굴(mining) 해보겠습니다. / Let me try mining 오늘은 "우리는 왜 가치 있다고 말하는가?"의 이야기 세번째 이야기를 드리기전, 최근 여타 여러 이유로 관심이 갖게 된 채굴에 관한 이야기를 잠깐 드리고 다음 편으로 이어가보고자 합니다. 채굴(mining)에 대한 의미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주요 암호화폐의 환전율(매도/매수가)의 고공행진 속에 이곳 스팀잇에서의 적지 않은 포스팅에서 채굴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것도 사실 인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고 글의 난이도, 어휘의 선택은 보통 최대한 쉽게, 어려운용어는 최대한 배제하려는 조금에 노력이 담겨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채굴을 어떻게 설명 드리면 좋을까 하고 많은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이런 관점에서 포스팅을 하고는 있지만, 읽어주시는 주요 독자라고 할까요? 많은 관심.. 2017. 8. 11.
암호화폐 이해하기(15) 우리는 왜 가치 있다고 말하는가?(2) (비트코인편) / Why do we say it is worthwhile? (about bitcoin(BTC)) 오늘은 "우리는 왜 가치 있다고 말하는가?"의 두번째 이야기인 비트코인(BTC, Bitcoin)에 대해서 이야기 드려보고자 합니다. (1) STEEM (스팀) 편 (2) "BTC (비트코인) 편" (3) ETH (이더리움) 편 (4) ICO 와 STRAT (스트라티스) 편 (5) SYS (SYSCOIN) 편 (6) BTS (BitShares) 편 (7) 시작을 기대하는 암호화폐 들.. 편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너무나도 익숙한 이름이 아닐까 합니다. 사실 첫 포스팅이었던 Intro에 글에 보면, 제가 전자화폐를 처음 언제쯤 접했는지 이야기 드린 내용이 있었습니다. 처음 비트코인이란는 단어를 언제 처음 들었었는지 정확하게 기억을 할 수는 없지만, 지인으로 부터 "전자화폐라는 것이 있는데, 전망이 좋테더라, 많.. 2017. 8. 11.
[ 전자화폐 이해하기(14) ] 우리는 왜 가치 있다고 말하는가?(1) (스팀편) / Why do we say it is worthwhile? (about steem) 안녕하세요. steemit 에서 @skt1로 얼마전 부터 전자화폐 이해하기 등의 이야기를 작성하고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구글에서 검색이 잘되는거 같긴한데, 다음이나 네이버에서는 검색하는 기능이 다른것인지, 잘 되지 않는것 같아 이곳에 제가 직접 작성한 내용을 최소한의 변경(혹은 동일하게) 업로드 해보려 합니다. (모든 이야기는 아니고, 주제와 카테고리에 맞는 이야기(포스팅)에 한해서 입니다.~..^^) ---------------------------------(1) 제가 이해하고 정리한 것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 묻지마 투자와 같이 전자화폐(블록체인기반의 암호화폐)를 투기 목적의 수단으로 만 생각하는 오남용을 방지하고자 함이 있습니다. (2) 그리고 소소한 재미와 일상을 공감할 수 있는..것 그리고 .. 2017. 7. 18.
[ 전자화폐 이해하기(13) ] 블록체인(암호화폐)의 부정적인 시각 "불안요소"(+@ 프라이버시) / Negative view of the block chain(cryptocurrency) "Anxiety element + Privacy" 안녕하세요. steemit 에서 @skt1로 얼마전 부터 전자화폐 이해하기 등의 이야기를 작성하고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구글에서 검색이 잘되는거 같긴한데, 다음이나 네이버에서는 검색하는 기능이 다른것인지, 잘 되지 않는것 같아 이곳에 제가 직접 작성한 내용을 최소한의 변경(혹은 동일하게) 업로드 해보려 합니다. (모든 이야기는 아니고, 주제와 카테고리에 맞는 이야기(포스팅)에 한해서 입니다.~..^^) ---------------------------------(1) 제가 이해하고 정리한 것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 묻지마 투자와 같이 전자화폐(블록체인기반의 암호화폐)를 투기 목적의 수단으로 만 생각하는 오남용을 방지하고자 함이 있습니다. (2) 그리고 소소한 재미와 일상을 공감할 수 있는..것 그리고 .. 2017. 7. 18.
반응형